OS마다 줄바꿈 문자가 다르며, CR(\r), LF(\n)를 사용하여 줄바꿈을 표현한다.
- 윈도우: \r\n (CRLF)
- 리눅스: \n (LF)
- 맥 OS: \r (CR)
Git에 파일을 올리게 되면 로컬 OS에 따라 CRLF가 깨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일해주기 위한 설정이 필요하다.
보통 Git에는 리눅스의 줄바꿈 문자를 이용한다.
Window 개발환경의 경우 아래 설정을 해주면 git에서 pull을 할땐 LF를 CRLF로, push 시엔 CRLF를 LF로 자동으로 변경해준다.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프로젝트 시작 전, git의 CRLF 설정을 해주어 줄바꿈 문자로 인한 파일 깨짐을 방지하자.
'프로그래밍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push 오류 - !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 (0) | 2019.04.28 |
---|---|
.gitignore 특정 디렉토리 규칙 예외 지정 (0) | 2019.04.28 |
.gitignore 파일 확장자 대소문자 구분 문제 (0) | 2019.04.28 |